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법정의 道

페이지 정보

작성자 명도abcd (1.♡.139.125) 댓글 0건 조회 10,798회 작성일 13-06-29 19:34

본문

요즘 보고 있는 거사작가 무염 정찬주의 <소설 무소유>의 한 장면이 마음에 들어 게시판에 올려봅니다.
 
스위스에서 온 철학자가 송광사 불일암에 법정스님을 찾아와 물었다.  "스님 혼자서 이런 산중에 사는 것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법정은 미소 지었다. "나는 내가 산중에 사는 일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나는지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나는 어떤 틀에도 갇힘이 없이 그저 내 식대로 홀가분하게 살고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이따금 지나가는 사람들이 내가 사는 모습을 보고 좋아하는 걸 보면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 모양이구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철학자도 미소를 지었다. 어떤 틀에도 갇힘없이 자기 식대로 산다는 것은 자유를 뜻했다. 법정은 그것을 홀가분함이라고 말했고 자유란 말은 쟁취해서 얻는다는 느낌이 들어서 가급적 쓰지 않았다. 홀가분함이란 자기를 다스려 얻는 '텅빈 충만' 같은 것이었고 맑은 고독으로 들어가게 하는 징검다리 같은 것이었다.
 
법정은 맑은 고독을 좋아했다. 맑은 고독은 누구나 지니고 있는 본래마음(본래면목) 그것의 보이지 않는 유전자 같은 것이었다. 맑은 고독으로 충만할 때만이 비로소 내면에서 물이 흐르고 꽃이 피었다.
 
법정은 맑은 고독으로 돌아가게 하는 수행이 바로 자신의 선(禪)이라고 생각했다. 법정은 더없아 맑은 고독과 하나되는 것을 자신의 깨달음이라고 보았다. '나'가 없어지고 부분이 전체가 되는 그런 <텅빈 충만>이야말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실체라고 깨달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350건 97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950 왕풀 6363 11-06-03
3949 꽃씨 14007 11-06-04
3948 우니 9453 11-06-03
3947 aura 6575 11-06-03
3946 서정만 7698 11-06-03
3945 아무개 6630 11-06-03
3944 김영대 8854 11-06-03
3943 꽃씨 14140 11-06-03
3942 공자 10557 11-06-03
3941 aura 10039 11-06-03
3940 아무개 12162 11-06-02
3939 아무개 11501 11-06-02
3938 산하 10390 11-06-02
3937 서정만 7483 11-06-02
3936 서정만 7631 11-06-02
3935 일호 7060 11-06-01
3934 일혜 6521 11-06-01
3933 히피즈 6637 11-06-01
3932 서정만 8320 11-06-01
3931 정리 9854 11-06-01
3930 아무개 7844 11-06-01
3929 서정만 8674 11-06-01
3928 동백 9567 11-06-01
3927 정리 8385 11-06-01
3926 바다海 7151 11-05-3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